한신공영6 만기 / 에스티엑스팬오션8 매수
시험삼아 운용중인 단기채권 롤오버중 한신공영채권이 만기가되어 금액을 늘려서 팬오션 채권을 매수했습니다.
대략 연환산 9%로 43일 보유예정.
중간에 철지난 테마주 탑승으로 1월에 번돈을 고스란히 반납했고, 장 급락후 Tiger 레버리지를 매수해서 정말 오랫만에 레버리지/인버스 단타로 약간 수익을 냈습니다.
1월의 마지막주는 코스닥위주의 추세마저 꺽인상태라 추세 무너진 주식들은 단타로도 청산하고 다시 주식비중 줄이면서 채권이나 DLS같은 상품으로 전환해야겠습니다.
그나마 작년말에 들어갔던 해외 하이일드채권이나 꾸준히 투자하던 브릭스펀드는 수익이 나고있네요. 코스피가 디스카운드된 상태라 해외투자비중을 가지고간게 다행입니다.
이외에 100만원씩 시험삼아 보유중인 ELS, DLS가 모두 2월초에 조기상환예정인데 들어가고싶은 ELS, DLS가 없네요. 유가에 1년~1년반정도 만기상품이라면 할만할텐대요.
2013년 2월 1일 금요일
2012년 12월 26일 수요일
Permanent Portfolio (영구적 포트폴리오)
예전에 절대수익률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알게된 내용인데, 쉽게말하면 경기사이클에 따르면 각 사분면에서 강세를 띄게되는 네가지 종류의 상품이 있고 그것에 균형있게 투자해서 영구적으로 꾸준한 수익률을 유지하는 포트폴리오입니다.
그 상품들은 각각 주식, 채권, 금, 현금이며 각각의 상품의 강세장은 사진을 참조하시면되고, 기본적으로 1년마다 리밸런싱을 통해서 각각의 비율을 25%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일단 이 포트폴리오가 굉장히 매력적인 이유는 균형이 잡혀있고,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주식/채권/금간의 상관관계와 흔히 간과하는 디플레이션에 대비한 현금보유까지 거액자산가 또는 영구히 운영되야되는 재단기금등이 이러한 아이디어를 활용하는게 좋아보이고요.
단점이라면 각 자산의 변동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주식약세시에 전체적인 포트폴리오가 손해를 볼 확률이 높지만, 흔히 주식시장이 무너질때 금과같은 현물이나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인하를 하면 채권의 가치가 높아지는 보완효과를 기대할수 있겠습니다.
제가 이 포트폴리오를 본 블로그는 이러한 자산에 ETF로 분산투자를 했었고, 제 생각에 국내투자자입장에서는 코스피 우량주위주의 KODEX 200같은 ETF, 국고채 ETF, 환헷지가 포함된 골드ETF(KODEX 골드선물(H)), 현금 또는 TIGER유동자산같은 ETF가 적절해보이는데 기본적으로 기축통화인 달러를 들고있는 미국투자자에게 조금 더(?) 영구적인 포트폴리오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저도 이해못한 부분도 있고, 생각보다는 굉장히 다양한 이론들이 있고 주식자산은 정확히 어떤 ETF를 가야하나 채권, 금은 어떻게가야하고 현금보유는 어떻게하는가에 대해서도 연구가 있는 포트폴리오입니다.
사실 개인의 자산을 이런식으로 운용하기에는 변동성이나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면서 경기사이클에 따른 상품관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이익을 보는 이와같은 투자전략을 응용하기에는 연구 유용성이 충분한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합니다.
라벨:
금,
주식,
채권,
현금,
Permanent Portfolio
2012년 12월 20일 목요일
주식 현금화
전체 주식을 1900초반대에서 싹 정리하고 현금을 50%로 올린 이후에 장이 2000선까지 오르면서 배가 아팠는데 그나마 삼성전자는 절반매도에 적립식으로 매수중이었던 KODEX200를 약간 보유중이었습니다. 그러다 기왕에 하방을 열어놓는 뷰로 간거 어제 삼성전자 나머지 절반도 매도를 했는데, 어제 고점에 잘팔고 어제 오늘 떨어지면서 장도 같이 빠지네요. 2천선에서 조금씩 모으던 인버스도 1900중반대에 오면 일단은 정리하면서 포지션을 최대한 간결하게 가려고합니다.
현재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상황은 이렇습니다.
국내 29%
해외 11%
현금 60%
주식 23%
채권 16%
상품 1%
현금 60%
적립식으로 들어가는 자산이 대부분 국내자산이라 국내비중이 30%선이고, 주식을 정리하면서 들어간 거치식 주식/채권자산은 대부분 해외투자라 해외비중이 약간있습니다. 상품 1%는 실험삼아(?)들어간 DLS
이러면 안되지만, 장이 좀 빠졌으면 좋겠다는 생각만 드네요.
2012년 12월 12일 수요일
채권ETF 4종 분석
채권 ETF들 수익률을 조금 비교해봤습니다. ETF시장이 활성화된지 얼마 되지않아서 대부분 Track Record가 없지만, 기본적으로 연환산수익률이 어느정도되고 금리에 따라서 수익률이 변하는지 아니면 일정한 수익이 나는지를 비교해보고 싶어서 뽑아봤고요. 산출방법은 대부분 배당이 나오는시점에 Pay Date기준으로 잘라서 기간동안 ETF주가변동+배당/시작일주가에 기간을 연환산해서 산출했습니다. 세금이나 제비용등은 포함하지 않았으나, 절대비교는 가능하리라 봅니다.
(티커/기간/연환산수익률/ETF명)
136340 2011/12/13~2012/6/12 5.26% Kstar우량회사채
2012/6/12~2012/12/11 5.18%
개인적으로 보유중인 ETF이고 대부분 국공채위주 ETF인반면 회사채에 투자를 하는 ETF입니다. 하지만 오늘현재 편입종목을 보면 - 기아차, 하이닉스, 한화, 롯데캐피탈, 신한카드, SK브로드밴드, LG디스플레이 - 등 대기업위주의 회사채로 구성되어 리스크도 안정적이라 판단됩니다. 보유한지 몇일 되지는 않았지만, 유동성은 그리 좋은편은 아니고 주가상승이 완만한편은 아니며 배당이 높은편입니다. 단 1년간의 Track Record상으로는 6개월이상 보유시 5% 수익을 기대할수 있으리라 보고 투자중입니다.
157450 3% Tiger유동자금
주가변동이 굉장히 완만하며, 배당이 없고 LP들이 호가도 좁게 대주는 편입니다. 말그대로 유동자금을 3%대로 굴리기 위해 괜찮은 ETF로 보이지만, 고액투자가 아닐시 제비용등을 감안하면 현재 CMA수익률을 이길수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배당에 따른 변동성이 없는점과 완만한 수익률이 장점입니다.
운용은 단기간의 통안채를 담고있습니다.
148070 2011/12/20~2012/12/7 8.88% Kosef 10년국고채
KOSEF의 10년국고채 ETF이고 계산이 틀린게 아니면 올한해 굉장히 좋은 수익률을 냈습니다. 1년배당이고 금리인하시 수익이 좋고 금리상승시에는 저조한수익을 내는 구조라는걸 알수있습니다.
114470 2011/12/13~2012/3/13 2.26% Kosef 국고채
2012/3/13~2012/6/12 5.52%
2012/6/12~2012/9/11 9.08%
2012/9/11~2012/12/11 1.93%
KOSEF 국고채 ETF로 일단 배당이 분기별로 나오고, 수익률이 들쑥날쑥한거로 미루어 역시 금리에 영향을 받고 이름으로 추측해보면 KOSEF 10년국고채와 비교해 단기국고채도 혼용한다는 사실을 알수있습니다.
KOSEF의 대표채권ETF로 Track Record도 긴편이고, 유동성도 괜찮아서 금리하락기에 채권에 투자하기에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참고자료 2012년 금리변동추이
일자 회사채(AA-/3년) 국고채(3년) CD(91일)
2012/12 3.27 2.83 2.89
2012/11 3.37 2.84 2.85
2012/10 3.29 2.77 2.85
2012/09 3.30 2.79 3.09
2012/08 3.27 2.76 3.16
2012/07 3.44 2.85 3.20
2012/06 3.87 3.30 3.54
2012/05 3.92 3.32 3.54
2012/04 4.14 3.45 3.54
2012/03 4.35 3.55 3.55
2012/02 4.26 3.45 3.54
2012/01 4.24 3.38 3.54
(티커/기간/연환산수익률/ETF명)
136340 2011/12/13~2012/6/12 5.26% Kstar우량회사채
2012/6/12~2012/12/11 5.18%
개인적으로 보유중인 ETF이고 대부분 국공채위주 ETF인반면 회사채에 투자를 하는 ETF입니다. 하지만 오늘현재 편입종목을 보면 - 기아차, 하이닉스, 한화, 롯데캐피탈, 신한카드, SK브로드밴드, LG디스플레이 - 등 대기업위주의 회사채로 구성되어 리스크도 안정적이라 판단됩니다. 보유한지 몇일 되지는 않았지만, 유동성은 그리 좋은편은 아니고 주가상승이 완만한편은 아니며 배당이 높은편입니다. 단 1년간의 Track Record상으로는 6개월이상 보유시 5% 수익을 기대할수 있으리라 보고 투자중입니다.
157450 3% Tiger유동자금
주가변동이 굉장히 완만하며, 배당이 없고 LP들이 호가도 좁게 대주는 편입니다. 말그대로 유동자금을 3%대로 굴리기 위해 괜찮은 ETF로 보이지만, 고액투자가 아닐시 제비용등을 감안하면 현재 CMA수익률을 이길수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배당에 따른 변동성이 없는점과 완만한 수익률이 장점입니다.
운용은 단기간의 통안채를 담고있습니다.
148070 2011/12/20~2012/12/7 8.88% Kosef 10년국고채
KOSEF의 10년국고채 ETF이고 계산이 틀린게 아니면 올한해 굉장히 좋은 수익률을 냈습니다. 1년배당이고 금리인하시 수익이 좋고 금리상승시에는 저조한수익을 내는 구조라는걸 알수있습니다.
114470 2011/12/13~2012/3/13 2.26% Kosef 국고채
2012/3/13~2012/6/12 5.52%
2012/6/12~2012/9/11 9.08%
2012/9/11~2012/12/11 1.93%
KOSEF 국고채 ETF로 일단 배당이 분기별로 나오고, 수익률이 들쑥날쑥한거로 미루어 역시 금리에 영향을 받고 이름으로 추측해보면 KOSEF 10년국고채와 비교해 단기국고채도 혼용한다는 사실을 알수있습니다.
KOSEF의 대표채권ETF로 Track Record도 긴편이고, 유동성도 괜찮아서 금리하락기에 채권에 투자하기에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참고자료 2012년 금리변동추이
일자 회사채(AA-/3년) 국고채(3년) CD(91일)
2012/12 3.27 2.83 2.89
2012/11 3.37 2.84 2.85
2012/10 3.29 2.77 2.85
2012/09 3.30 2.79 3.09
2012/08 3.27 2.76 3.16
2012/07 3.44 2.85 3.20
2012/06 3.87 3.30 3.54
2012/05 3.92 3.32 3.54
2012/04 4.14 3.45 3.54
2012/03 4.35 3.55 3.55
2012/02 4.26 3.45 3.54
2012/01 4.24 3.38 3.54
2012년 12월 1일 토요일
2013년 재태크 계획..
현재 포트폴리오는 대선주 위주의 개별종목 투자. 이제 대선도 가까워지고 주식은 정리해야하고, 내년도 재태크 계획을 새로 새우기 위해 나름 내년 경제전망들을 열심히 읽었다. 결론은 정말 할만한 상품이 많지 않다는것... 일단 증권사들의 긍정적인 전망속에서도 상반기 주식시장은 불안정한 요인이 많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어느정도 타격을 받으면 그 타이밍이 분할매수로 들어가는게 좋을것같다. 그렇다면 그 기간동안 투자할만한 환금성 높은 투자 대상을 찾아야하는데 레이더에 올렸던것은 채권과 상품이었다. 현재 기준금리가 2.85?, 향후 2.6~7정도까지는 더 내려갈수 있다고하니 채권 자체로 그리 나쁜 시장은 아닌것같다. 경기가 살아나기 전까지는 저금리를 이어갈것이고, 경기가 살아나는 신호가 오기전에 주식쪽으로 넘어갈 필요가 있어야할것같다. 상품중에서 일단 유가의 전망은 좋지 않았었고, 금은 개인적으로는 장기적으로 매력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내년 상반기에 환금성을 높이면서 단기적으로 들어가기에는 여전히 가격에 리스크는 있어보인다.
각종 시장들에 대한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모두들 리스크를 가지고있는데, 시장별 예상자료를 통한 내 생각을 정리해보면.. 유럽은 여전히 가장 큰 리스크이고 크게 악화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좋은 주식투자 대상은 아닌것같다. 미국은 재정절벽과 같은 리스크는 있지만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크게 무너질것같진 않아보인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원화대비 달러 매입이 내년초에 아주 좋을것같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미국은 현재 양적완화를 하기 힘든 상황이며, 유럽이 무너질시 달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질수밖에 없다는점.. 그리고 원달러 환율도 적정선에서는 낮은 1080을 유지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이 정도선은 방어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했기때문에 1100원대 위로 올라갈 여지가 충분히 보였다.
신흥국 시장에서는 브라질의 경제정책이 이제 효과를 보이기 시작한 시점이고, 내년을 기점으로 서서히 상승세를 탈수도있다는 예측이 있는것으로 보아 장기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상황인것같다. 안그래도 2014~16년까지 장기적으로 브라질펀드에 투자중인데, 현재 상황이 장기적인 투자를 유지하기에 아주 좋은 상태인것같다.
그리고 여러 시장들 속에서도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가 여전히 굉장히 매력적인 상황이고, 올해말로 주식을 정리하면서 거치식으로 인도네시아펀드에 약간 투자를 해볼 생각이다. 각종 경제전망이 신흥국시장중에서 가장 좋아보인다.
내년초의 투자대상... 1) 달러 2) 인도네시아 펀드 3) 경기방어주 / 인버스ETF 4) 채권
달러는 환율 변동에 따라서 단기적으로 정리할 예정
인도네시아 펀드는 최소 1년이상 투자할 예정이고
경기방어주와 인버스ETF를 가장 집중적으로 관리해서 포지션을 줄이고, 다른 투자대상이나 KOSPI에 투자할 예정이다
채권은 그나마 가장 편하게 이도저도 아니면 예금수익률 노릴수 있기때문에 특정 포지션에서 정리는 필요하지만 매수할 대상이 없을시에 보유량을 꾸준히 늘릴예정이다. 본격적으로 글로벌 위기가 해결될 기미가 보일시 정리하고 주식쪽으로 다시 자산을 이동할 예정이다.
이제 남은건 투자 비율과 투자 방법
피드 구독하기:
글 (Atom)